ENG 한글

한글:세계문자사의가장빛나는별

9. 16(토) 14:30–16:15
대우재단빌딩 7층 제2회의실

Hangul : Korean Language, the Brightest

9. 16(SAT) 14:30–16:15
Meeting Room #2, 7th Floor, Daewoo Foundation Building
한글에 관한 비디오를 보며 세종대왕이 발명한 한글의 과학성과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에 담긴 고귀한 정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김용희(한국의 정신과 문화 알리기회)
We will watch a video about Hangul and discuss scienti c natures of Hangul, the King Sejong's invention, and the souls of Korean great minds in our people's cultural heritages.
Kim, Yong-hee(Korea Spirit & Culture Promotion Project)

시각적 한계를 극복한 세계적 정음

9. 16(토) 14:30–16:15
대우재단빌딩 7층 제2회의실

Correct Pronunciation, Overcoming the Visual Limit

9. 16(SAT) 14:30–16:15
Meeting Room #2, 7th Floor, Daewoo Foundation Building
한글의 로마자표기법 및 풀어쓰기 변환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한글로망은 한글의 간결한 6개 기본 모음과 14개의 자음 표기를 활용하여 대상 외국어의 자모를 연계하고 한글식 모아쓰기를 통한 음절 구분과 띄어쓰기 표준을 구현한 서체로 한글로망을 개발한 대표가 한글의 서체기능을 활용한 디자인 표기법을 설명합니다.
이돈규(한글로망대표)
Romanization and word-based writing. KROMANG is a font type which simply uses transcriptions of 6 basic vowels and 14 consonants in Hangul to connect with foreign letters, and realizes syllabi cation through Korean way of syllable-based writing as well as word spacing standards. The president of KROMANG will explain various design orthographies using font type function of Hangul.
Lee, Don-gyu(President of KROMANG)

손바닥 헌법책 이야기

9. 16(토) 14:30–16:15
대우재단빌딩 7층 제2회의실

A Story about a Pocket Constitution Book

9. 16(SAT) 14:30–16:15
Meeting Room #2, 7th Floor, Daewoo Foundation Building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에서 대한민국 국민이 주권자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출간한 '손바닥 헌법책'을 시민들에게 배포합니다. 국한문혼용체에서 한글전용으로 바뀐,'문자꼴 바꾸기'가 우리의'기억'과 '삶'을 어떻게 바꿔 놓았는지를 실증적으로 보여 주는 작업입니다.
이주영(어린이문화연대 대표, 전 마포초등학교 교장)
A Story about a Pocket Constitution Book
The 'National Constitution Reading Campaign' distributes to the citizens the 'Palm Book of Constitution' which was published to encourage Koreans to fully assume the sovereign power. It is an evidential piece of work how the 'font shift,' from combined use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to exclusive use of Hangul, changed our 'memory' and 'life.' Lee, Joo-young(President of Children Culture Solidarity, Former Principal of Mapo Primary School)

유럽의 경계어 인포그래픽스 "사방세계"의 제작 과정과 그 의미

9. 16(토) 14:30–16:15
대우재단빌딩 7층 제2회의실

The Europe's Language Boundary Infographics, "The World of All Directions" Production Process and its Meaning

9. 16(SAT) 16:30–19:30
Meeting Room #2, 7th Floor, Daewoo Foundation Building
세계문자심포지아 2016에서 기획한 학술과 예술의 협업 결과물인 인포그래픽스를 시민들에게 배포하고 이를 기획한 의도와 제작과정의 설명을 통해 앞으로의 세계문자심포지아의 학·예술 문화행사의 정체성을 고민해봅니다.
봄로야(디자이너)
Infographics, the product of collaboration between academy and
art from the World Script Symposia 2016, will be handed out to the visitors, and we will together undertake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World Script Symposia's future identity as both
an academic and art event through explanations on project purpose and production process.
Bom, Ro-ya(Designer)

서울로에 대한 사진으로 되돌아본 '사진 속 기억들'과 그 변형의 의미

9. 16(토) 16:30–19:30
대우재단빌딩 7층 제2회의실

The 'Memories in Photos'Reflected in the Photos of Seoullo and the Meaning of its Changes

9. 16(SAT) 16:30–19:30
Meeting Room #2, 7th Floor, Daewoo Foundation Building
'아키타입7017'을 중심으로 서울역 고가도로의 과거와 현재 모습을 비교함으로써 공공시설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면서 '잇다'의 기능적/상징적 변화를 생각해보고, 기록의 의미를 되새겨 봅니다.
정정호(사진작가)
By comparing Seoul Station highway's past and present around the 'Archetype 7017'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 in public facilities, we can ponder on the functional/symbolic change of 'to link' and reflect on the significance of recording.
Jeong, Jeong-ho(Photographer)

천부경(天符經)에 담긴 민족의 기억과 별자리 발표 및 함께 토론하기

9. 16(토) 16:30–19:30
대우재단빌딩 7층 제2회의실

Our People's Memory in Cheonbugyeong(天符經), Constellation and Discussion Sessions

9. 16(SAT) 16:30–19:30
Meeting Room #2, 7th Floor, Daewoo Foundation Building
갑골문자로 쓰여진 고문서 천부경을 8개 수수께끼로 요약하고 이것을 현대의 천문학적 지식과 연결해 해독하여 천간(天干)의 비밀을 밝혀내는 새로운 학문적 시도를 해봅니다.
전병권(건국대학교 강사)
The ancient manuscript Cheonbugyeong written in shell-and-bone scripts will be summarized into 8 enigmas. We will link this with the modern astronomical knowledge to decipher the document and make a new intellectual attempt on discovering the secret of celestial stems.
Jeong, Byoung-gwon (Lecturer at Konkuk University)

기조강연 : 문자는 기억하지 않는다

9. 17(일) 10:00–12:00
대우재단빌딩 7층 제1회의실

Keynote Lecture: Script does not Remember

9. 17(SUN) 10:00–12:00
Meeting Room #1, 7th Floor, Daewoo Foundation Building
문자(글자)의 생명력은 사람들이 그 글자(문자)에 담긴 '바'를 그대로 기억해 낼 때만 되살아난다는 취지에 맞춰 "문자는 기억할 수 없다."라는 선언을 담고 있습니다. 아울러 이 취지에 맞춰 '문자'를 살아있게 하려면, 문자에 담긴 기억들을 '삶'으로 되돌려 놓아야 하는데, 오늘날 문자 다양성이 조잡드는 '절박한 사태'가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문자의 생명 터가 되는 사람들의 기억과 그 기억의 뿌리가 되는 삶을 하나로 '잇는 축제'의 필요성을 주장합니다.
구연상(숙명여자대학교 교수/ 학술단장)
The vitality of a letter(script) includes the declaration "The script cannot remember" which relates to the point that such a letter(script) can only be revived when people remember exactly what the letter(script) holds. Besides, we need to put the memories back to 'life' if we want to let the 'script' live according to this point, but we are faced with ever increasing tension from the 'desperate situation' of script diversity. I contend therefore the need to hold a 'festival of linking' which will join people's memory, the lifeground of script, and life which serves as the root of such memory.
Goo Yeonsang(Professor at Sookmyung University / Head of Academic Association)

천경림에 깃들인 풍류도의 기억

9. 17(일) 10:00–12:00
대우재단빌딩 7층 제1회의실

The Memory of Pungryudo indwelled in Cheongyeongrim

9. 17(SUN) 10:00–12:00
Meeting Room #1, 7th Floor, Daewoo Foundation Building
문자의 범위를 자연물까지 확대한 사례발표로, 신라시대 풍류도가 지배적이던 시기에 인간의 신체와 행위는 물론 자연물을 표기하던 비문자가 어떻게 의미를 생성하고 해석되는지 그 체계에 대한 설명을 합니다.
이도흠(한양대학교 교수)
As a case presentation which pushes the boundary of scripts to include natural objects, this session intends to explain how non-scripts, used to transcribe not only human's bodies and activities but also natural objects, create significance and are translated in the Shilla era when Pungryu-do was dominating.
Lee, Do-heum(Professor at Hanyang University)

되돌미루 기념행사: 미래 문자의 가능성을 탐구하다

9. 17(일) 13:00–15:30
대우재단빌딩 7층 제1회의실

A Commemorative Event, Doedolmiru: Exploring the Potentials of Future Script

9. 17(SUN) 13:00–15:30
Meeting Room #1, 7th Floor, Daewoo Foundation Building
1부: 지난 해를 되돌아보기
2부: 문자의 미래 또는 미래문자를 미루어보는 이야기 펼치기
'미래 문자' 또는 알자[정보를 통합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알림 체계]의 가능성에 대한 예술적 실험을 이야기하고 지난 해 행사를 '되돌[아보고]-미루[어보는]' 기념(紀念) 행사입니다.
임나래 (큐레이터)
신정아 (방송작가)
이원호 (작가)
한재준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권두영 (서울미디어대학원 교수)
이광기 (작가)
Part 1: Backlooking last year's event
Part 2: Inferring the future of script or future script.
In this commemorative event of 'BackLooking-Inferring' last year's event, we will talk about the artistic experiment on the possibilities of 'future script' or ahlja [an alarm system for integrative information delivery].
Lim, Nah-rae(Curator)
Shin, Jung-ah(Scenarist)
Lee, Won-ho(Writer)
Han, Jae-joon(Professor at Seoul Women's University)
Kwon, Doo-young(Professor at Seoul Media Institute of Technology)
Lee Kwang-ki(Writer)

문자와 기억의 작가: 기억에 대한 대담

9. 17(일) 16:00–20:00
윤슬

The Authors of Script and Memory: Talk Sessions on Memory

9. 17(SUN) 16:00~20:00
Yoonseul
유경숙 소설가의 글 '문자, 인간의 오묘한 무늬글자'와 박초이 소설가이자 편집장의 '문(文)이 문(門)을 열어주었을까'라는 단편 소설을 함께 읽고 음미하며 글자를 수단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작가들의 '글자의 세계'를 듣고, 시민들의 진솔한 물음에 진실한 대답을 합니다.
유경숙(소설가)
박초이(소설가/문학나무 편집장)
We will read and savior together 'The Script, Subtly Patterned Human Letter,' by the novelist Yoo, Kyung-sook and 'Did the Literature(文) Open the Door(門)?' by the novelist and editor Park, Cho-yi and hear about the 'world of letters' from the writers who utilizes letters as a means to create new stories.
Yoo, Kyung-sook(Novelist)
Park, Cho-yi(Novelist/Chief Editor of Munhagnamu)

일지시의 작가와 만인보(萬人譜)의 작가가 만나다

9. 17(일) 16:00–20:00
윤슬

The Author of 'Maninbo: Peace and War' Meets the Authors of 'Iljisi (poems on our lives)'

9. 17(SUN) 16:00~20:00
Yoonseul
3천 편에 가까운 일지시를 써오고 있는 정현기 시인께 '글을 적어오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글자의 고마움이나 글자의 저항과 같은 '글자살이'의 애환을 함께 되새깁니다. 그리고 해마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오르는 고은 작가의 평생 써온 글 가운데 '가장 기억에 남는 시' 낭송을 함께 듣고, 이 분들의 작품을 잘 아는 비평가와 함께 '글을 쓴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이고, 글을 쓰는데 사용되는 '글자'란 무엇인지를 물어보고 이들에 대한 시민들의 궁금증도 풀어봅니다.
정현기(전 연세대학교 교수)
고운기(한양대학교 교수)
고은(작가)
김응교(숙명여자대학교 교수)
We will have the poet Jeong, Hyeon-gi who has been writing almost 3,000 journal poets and listen to what he can tell us about 'the process of writing by hand' to reflect on joys and sorrows of 'script living' such as gratitude for scripts or resistance of scripts. In addition, together we will listen to poetry reading of 'the most memorable poem,' one of Go, Un's many life-long works of poems. We will then be accompanied by a critic well acquainted with both writers to ask what it means to 'write,' what a 'letter' is that is used for writing, and relive the audience's curiosity as well.
Jung, Hyun-gi(Former professor of Yonsei University)
Go, Woon-ki(Professor of Hanyang University)
Go, Un(Writer)
Kim, Eung-kyo(Professor of Sookmyung University)